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기업 함께 지원금받고 상생하자구요

by 3blackbeans 2025. 4. 15.
반응형

2025년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 안내

안녕하세요, 2025년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에 대해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제도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와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핵심 정책으로, 올해 더욱 확대 개편되었습니다.

중소기업은 청년들의 이미지에 열악한 근무환경, 박봉 그리고 많은 근무시간으로 편견이 조성되어 왔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지금까지 보면 맞는 것 같습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01

 

최근에는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기업의 복리후생, 근무환경에 대해 어느 정도 설명하고 보여줄 수 있는 기회들이 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대기업의 네임밸류를 원하는 젊은 세대에겐 중소기업은 다른 메리트가 없는 이상 같은 테이블 위에 놓여 있을 때 불리한 선택지임은 분명합니다. 

이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어떻게 보면 금전적인 이득이 되기도 하지만, 전 기업에 많은 힘이 된다고 봅니다. 

고용노동부 기준수립하시는 분들께서 많은 고민을 하셨겠지만, 장기고용에 대한 인센티브는 지속적으로, 금액도 더 증액해서 가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연중 근로자 입퇴사가 빈번하면 결국 중소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테니까요. 

아, 요즘 중소기업은 예전과 많이 다릅니다. 특히 급여부분도 초봉 4천만 원 전후를 심심찮게 볼 수 있고, 근로시간도 대기업과 같이 줄여나가고 잔여연차도 수당으로 지급하는 회사도 많이 늘었으니까요. 오해하지 말아 주시라고요.

제도 개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중소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고용을 유지할 경우 기업에게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기업에 직원들의 장기근속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청년들에게는 취업기회를 확대해 줄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지원 대상

지원대상은 좀 더 상세히 구분되었습니다. 

예년에는 미취업상태 6개월 이상인자 등으로 단순히 분류되었지만, 올해는 더 세분화하고 대상자 폭도 넓혀서 잘 살펴보시면 개인측면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방법이 많을 것 같습니다. 

지원 내용

 

기업에게는 청년 1인당 월 6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지원됩니다. 1년에 최대 720만 원을 지원하게 됩니다.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에서 청년을 채용한 기업에 대해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하면 최장 1년간 720만 원을 지원하고, 18개월 이상 재직한 청년에게는 480만 원을 지급해서 장기근속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게 됩니다. 

요즘처럼 중소기업 인력난으로 힘들어할 때 기업과 청년세대에 좋은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신청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집니다. 고용노동부(고용24)의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시스템'을 통해 기업이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 신청서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청년 근로계약서 사본
  • 청년 자격요건 확인서류
  • 기업 지원자격 확인서류

신청 시스템은 365일 24시간 운영되며, 분기별 마감일 이전에 신청해야 해당 분기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후 심사를 거쳐 적격 여부가 결정되며, 승인 시 기업의 등록된 계좌로 지원금이 입금됩니다.

2025년 주요 변경사항

올해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첫째, 지원 규모 확대로 전년 대비 2만 명이 증가한 10만 명을 지원합니다. 둘째, 고졸 청년에 대한 지원 강화로 고졸 청년을 채용하는 기업에는 월 2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이 제공됩니다. 셋째, 지방 소재 기업 가산금 신설로 수도권 외 지역에 위치한 기업이 청년을 채용할 경우 월 10만 원의 추가 지원을 받게 됩니다.

또한, 디지털 전환 관련 직무에 대한 우대 정책이 신설되어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디지털 전환 관련 직무에 청년을 채용하는 경우 월 지원금이 상향됩니다. 이는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청년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기대 효과

이 제도를 통해 청년들은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을 수 있고, 기업은 인건비 부담을 줄이면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 실업률 감소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2025년 말까지 청년 실업률을 5%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지방 소재 기업과 고졸 청년의 고용률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03

문의 및 상담

제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나 가까운 고용센터에서 상담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홈페이지(www.youth-jump.go.kr)에서도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