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2 파견근로자 필수 체크리스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직장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파견근로자의 권리와 정규직 전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노동시장의 유연화로 인해 파견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견근로자로서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이 글에서는 파견근로자의 기본적 권리부터 정규직 전환 조건, 성공 전략, 법적 대응 방법, 그리고 알아두면 유용한 복리후생 제도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파견근로자, 당신의 기본적 권리를 알고 계신가요?파견근로자는 파견사업주(파견업체)와 고용관계를 맺고, 실제로는 사용사업주(일하는 회사)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특수한 고용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중적 고용구조로 인해 .. 2025. 4. 17. 상시근로자 - 지금 직원수? 연간평균? 1. 상시근로자의 개념제가 처음 상시근로자에 대해 알아보고 계산을 이리 저리 해보면서 알게 된 시점은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기업'이라는 홍보물을 받고 나서였습니다. 총무만 하다가 인사업무를 하게 되면서 많은 용어나 개념에서 혼란이 있었던 터라 여기저기 검색을 하고, 노무사님에게도 물어보면 개념파악을 하였지요. 지금부터 상시근로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상시근로자는 특정 사업장에서 정기적으로, 지속적으로 근무하는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고용보험법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사업장의 규모를 판단하거나 법적 의무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면 중대재해 처벌법의 대상이 되느냐 마느냐 하는 중요한 일에서도요.상시근로자는 쉽게 말해, 한 회사에서 하루 이틀만 일하는 단기 근.. 2025. 4.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