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법3

직장맘 필수 가이드: 출산휴가 후 복직, 당신의 권리는 지켜지고 있나요? 출산휴가 후 복직, 회사의 기본적인 법적 의무사항출산휴가를 마치고 일터로 돌아가는 직장맘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내가 돌아갈 자리가 그대로 있을까?'입니다. 이는 단순한 걱정이 아닌, 법으로 보장된 권리에 관한 문제입니다.근로기준법 제74조 제4항에서는 명확하게 사업주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출산휴가가 끝난 후에는 휴가 전과 동일한 업무 또는 동등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입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동등한 수준'이란 표현입니다. 이는 단순히 급여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업무의 중요도, 책임, 권한, 직위 등이 모두 포함되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 전에 팀장 직책을 맡고 있었다면, 복직 후에도 유사한 수준의 책임과 권한.. 2025. 4. 22.
파견근로자 필수 체크리스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직장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파견근로자의 권리와 정규직 전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노동시장의 유연화로 인해 파견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견근로자로서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이 글에서는 파견근로자의 기본적 권리부터 정규직 전환 조건, 성공 전략, 법적 대응 방법, 그리고 알아두면 유용한 복리후생 제도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파견근로자, 당신의 기본적 권리를 알고 계신가요?파견근로자는 파견사업주(파견업체)와 고용관계를 맺고, 실제로는 사용사업주(일하는 회사)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특수한 고용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중적 고용구조로 인해 .. 2025. 4. 17.
대표님이 몰래 취업규칙을 바꿨다고요? 근로자의 권리를 지키는 취업규칙 제정·변경 완벽 가이드!안녕하세요. 오늘은 근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취업규칙의 제정 및 변경'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직장인들은 취업규칙이라고 하면 그냥 으례 있는 회사내 문서 정도로 치부하고 큰 관심을 갖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때론 젊은 친구들이 취업규칙이 궁금하다고 와서 물어보거나, 이건 왜 이렇죠 하면서 의문을 제기할 때가 있는데 가끔씩 그럴 때에는 달리 보이기도 하고 젊은 세대의 권리의식이랄까 하는 것이 새삼 와닿기도합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규칙을 제대로 파악하고 회사와 직원간에 상호신뢰 측면에서도 취업규칙은 잘 만들어져야하고, 또 개정을 해나아가면서 실상에 맞추어가도록 변경작업도 게을리 하면 안되겠습니다.     1. 취..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