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법5

직장맘 필수 가이드: 출산휴가 후 복직, 당신의 권리는 지켜지고 있나요? 출산휴가 후 복직, 회사의 기본적인 법적 의무사항출산휴가를 마치고 일터로 돌아가는 직장맘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내가 돌아갈 자리가 그대로 있을까?'입니다. 이는 단순한 걱정이 아닌, 법으로 보장된 권리에 관한 문제입니다.근로기준법 제74조 제4항에서는 명확하게 사업주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출산휴가가 끝난 후에는 휴가 전과 동일한 업무 또는 동등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입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동등한 수준'이란 표현입니다. 이는 단순히 급여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업무의 중요도, 책임, 권한, 직위 등이 모두 포함되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출산휴가 전에 팀장 직책을 맡고 있었다면, 복직 후에도 유사한 수준의 책임과 권한.. 2025. 4. 22.
근로자의 날, 알면 더 좋은 권리 근로자의 날, 법정 휴일의 모든 것: 알면 더 좋은 근로자의 권리다가오는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입니다. 달력에는 평범하게 검정 글씨로 표시되어 있지만, 직장인들에게는 사실상 보너스와 같은 특별한 휴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날에도 업무 특성상 일터에 나가야 하는 분들이 계시기에, 너무 노골적으로 즐거움을 표현하기는 조심스러운 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자의 날의 의미와 법적 지위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다면, 모든 근로자가 자신의 권리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근로자의 날, 회사의 단순한 배려가 아닌 법적 권리많은 직장인들이 근로자의 날이 5월 1일이라는 사실은 알고 계시지만, 이 날의 법적 지위에 대해서는 다소 혼란스러워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조건 쉬는 날'이라.. 2025. 4. 21.
대표님이 몰래 취업규칙을 바꿨다고요? 근로자의 권리를 지키는 취업규칙 제정·변경 완벽 가이드!안녕하세요. 오늘은 근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취업규칙의 제정 및 변경'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직장인들은 취업규칙이라고 하면 그냥 으례 있는 회사내 문서 정도로 치부하고 큰 관심을 갖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때론 젊은 친구들이 취업규칙이 궁금하다고 와서 물어보거나, 이건 왜 이렇죠 하면서 의문을 제기할 때가 있는데 가끔씩 그럴 때에는 달리 보이기도 하고 젊은 세대의 권리의식이랄까 하는 것이 새삼 와닿기도합니다. 직장을 다니면서 규칙을 제대로 파악하고 회사와 직원간에 상호신뢰 측면에서도 취업규칙은 잘 만들어져야하고, 또 개정을 해나아가면서 실상에 맞추어가도록 변경작업도 게을리 하면 안되겠습니다.     1. 취.. 2025. 4. 13.
아르바이트생 4대보험 안들어주면 과태료 최대 500만원?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총정리! 아르바이트 4대보험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사업주와 아르바이트생들이 궁금해하는 '아르바이트 4대보험' 관련 내용을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은 근로자의 기본적인 사회안전망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필수적입니다.   1. 아르바이트 4대보험, 일정한 조건에 해당된다면 의무가입이 원칙입니다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은 근로기준법상 의무사항입니다. 단시간 근로자라도 다음 조건중 하나에 해당하면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1개월 이상 근무하는 경우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월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특히 아르바이트생이라고 해서 4대보험 가입을 제외할 수 없으며, 이는 근로자의 기본.. 2025. 4. 11.
주휴일의 의미 - 토요일은 원래 근무일 회사에 다니면서 '주휴일', '유급휴일' 그리고 '무급휴일'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 개념상으로 아 그렇구나 정도로 알고 계신 경우가 많을 겁니다. 요즘은 대부분 토요일과 일요일을 다 쉬는 기업들이 많아서 토요일까지도 주휴일로 알고 계신 분들이 있고, 그래서 토요일 휴일근무나 일요일 휴일근무가 다 동일한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주휴일의 개념과 토요일이 유급휴일인지 무급휴일인지 정리하였습니다.    주휴일이란 무엇일까?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에 따르면, 일주일 동안 쉬지 않고 열심히 근무한 사람에게는 하루를 '유급'으로 쉴 수 있는 권리를 주게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주휴일'이라고 합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빠지지 않고 열심히 일한 사람은 '일요일'을 그냥 쉬면.. 202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