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협상2 기본급 줄어도 통상시급이 중요한 이유 우리나라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월급명세서를 들여다보며 기본급과 각종 수당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최근 많은 직장인들이 "월급은 올라가는데 기본급은 낮아진다"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과연 기본급과 통상시급은 무엇이며, 기본급이 낮아지면 정말 손해일까요? 또 이들이 실제 임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할까요? 기본급과 통상시급: 개념과 차이점기본급은 근로자가 받는 임금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고정급여로, 직무의 가치나 난이도, 책임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쉽게 말해 고용 계약서에 명시된 '기본이 되는 급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급은 직원의 직급, 근속연수, 업무 능력 등을 고려하여 책정되며, 대개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됩니다.반면 통상시급은 근로기준법상 중요.. 2025. 4. 26. 근로계약 - 인사노무의 첫출발이자 기준서 개인 간에 거래나 정부 용역을 진행할 때에도 우리는 누구나 사전에 계약을 맺습니다. 회사 내 임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도 반드시 먼저 맺어야 하는 과정이며 내용 중 꼭 있어야 하는 항목까지 법에 명시가 되어있습니다. 바로 근로기준법이지요. 인사노무의 첫걸음으로 근로계약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근로계약의 근거근로계약은 고용노동부 소관 '근로기준법'에 근거합니다. 법조항을 살펴보면,1. 근로계약이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체결된 계약이며(근로기준법 제2조),2. 법에 따라 근로자와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지키고 성실하게 이행할 의무가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5조). 명칭에서도 그러하듯이 근로계약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서로 합의하에 작성하는게 원칙이.. 2025. 3.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