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직금2

기본급 줄어도 통상시급이 중요한 이유 우리나라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월급명세서를 들여다보며 기본급과 각종 수당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최근 많은 직장인들이 "월급은 올라가는데 기본급은 낮아진다"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과연 기본급과 통상시급은 무엇이며, 기본급이 낮아지면 정말 손해일까요? 또 이들이 실제 임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할까요? 기본급과 통상시급: 개념과 차이점기본급은 근로자가 받는 임금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고정급여로, 직무의 가치나 난이도, 책임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쉽게 말해 고용 계약서에 명시된 '기본이 되는 급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급은 직원의 직급, 근속연수, 업무 능력 등을 고려하여 책정되며, 대개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됩니다.반면 통상시급은 근로기준법상 중요.. 2025. 4. 26.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 매번 혼동하는 인사 전문용어(?) 매년 연초를 전후하여 근로계약을 갱신하거나, 새로이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에 대해 한번 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근로자들이 민감해하는 퇴직금이나 각종 수당들의 산출 기준이 무엇인지 항상 헷갈려하는 것같고, 심지어 기본급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 아닌가 오해하는 분들도 있어서 정리해봤습니다.    통상임금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받는 임금을 말합니다. 말 그대로 매월 일정한 근무일, 근무시간을 일하면 지급되는 정기 성격의 '기본급'과 '수당'을 합한 금액입니다. 따라서 통상임금은 기본급보다 항상 크죠.통상임금의 구성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본급(2) 직무수당, 직책수당(3) 기술수당, 면허수당(4) 상여금(항상 나온다고 인식하는 상여금이며, 불규칙.. 2025. 3. 31.